티스토리 뷰

 

조선시대 문관 계급 체계

조선시대 품계

품계 명칭(상계) 명칭(하계)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 숭정대부(崇政大夫)
정2품 자헌대부(資憲大夫) 가정대부(嘉靖大夫)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 중의대부(中義大夫)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통훈대부(通訓大夫)
종3품 중직대부(中直大夫) 중훈대부(中訓大夫)
정4품 봉정대부(奉政大夫) 봉렬대부(奉列大夫)
종4품 조산대부(朝散大夫) 조봉대부(朝奉大夫)
정5품 통덕랑(通德郞) 통선랑(通善郞)
종5품 봉직랑(奉直郞) 봉훈랑(奉訓郞)
정6품 승의랑(承議郞) 승훈랑(承訓郞)
종6품 선교랑(宣敎郞) 선무랑(宣務郞)
정7품 무공랑(務功郞) 계공랑(啓功郞)
정8품 통사랑(通仕郞) 승사랑(承仕郞)
정9품 종사랑(從仕郞) 장사랑(將仕郞)

 

위 도표는 조선시대 문관의 계급 체계를 나타내었다.

  • 명칭은 품계에 해당하는 관직명을 나타낸다.
  • 좌측은 각품 상계를, 우측은 각품 하계를 나타낸다.

조선시대 문관의 계급은 정1품부터 종9품까지 18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정1품은 최고위 문관의 계급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와 보국숭록대부로 나뉜다.

조선시대 문관의 계급은 품계와 봉작으로 구분된다. 품계는 문관의 직위와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 상, 하로 구분된다. 봉작은 문관에게 주어지는 작위로, 대부, 장군, 교위, 부위 등으로 구분된다.

 

조선시대 주요 위인들의 품계

정도전(鄭道傳) : 조선 건국의 주역으로, 정1품인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올랐다.

 황희(黃喜)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문신으로, 정1품인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으며, 영의정을 역임했다.

조광조(趙光祖)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개혁가로, 정2품인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으며, 사헌부 대사헌을 역임했다.

이황(李滉)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정1품인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올랐다.

이이(李珥)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정2품인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으며, 사간원 대사간을 역임했다.

유성룡(柳成龍)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문신으로, 정1품인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올랐으며, 영의정을 역임했다.

 허준(許浚)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의학자로, 정3품인 통정대부에 올랐으며, 내의원 의관, 어의 등을 역임했다.

김홍도(金弘道)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화가로, 종6품인 선무랑(宣務郞)에 올랐다.

신윤복(申潤福)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화가로, 정6품인 승의랑(承議郞)에 올랐다.

박지원(朴趾源)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실학자로, 정3품인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정약용(丁若鏞)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실학자로, 정3품인 통정대부에 올랐으며, 암행어사, 형조참의 등을 역임했다.

 김정희(金正喜)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서예가이자 금석학자로, 종6품인 주부(主簿)에 올랐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